침술, 구술, 부항술 세부 혈자리에 대한 기록하기
세부 혈자리 추가 기록, 자락관법 시술부위 기록, 최근상병 재진 기록, 진료기록부 확인/출력
- 최근 심평원 '집중심사' 경향에 따라(진료비가 급증하거나 사회적 이슈화 등에 따름),
- 시술부위를 기록할 것을 권장하는 안내창 활성화와 기능을 참고하여 대응 권장
- '심사지침'은 보험법규와 달리 심사방향과 특정 기간에 따라 수시로 약간씩 변동되므로,
- 이러한 심사지침에 맞춰 실제 시술한 혈자리의 선택을 최대한 풍부하게 구성하여 기록하기 권장
- 보험청구용 시술행위 기록 외에 시술한 침술의 다양한 혈자리를 가능하면 풍부하게 기록하여 외부 기관으로부터의 설명요구에 대응할 수 있도록 관리 요망
(단, 변동하는 심사지침을 쫓아가며 프로그램에서 정확하게 구현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므로,
이를 경고/안내 팝업으로 메시지창을 띄워 진료의가 판단하는데 참고할 수 있도록 대응 중)
1. 혈자리기록의 풍부한 기록 권장
실제 시술한 혈자리의 선택을 최대한 풍부하게 구성하여 기록하기 권장
보험청구용 시술행위 기록 외에 시술한 침술의 다양한 혈자리를 가능하면 풍부하게 기록하기
① 진료내역에 시술 혈자리를 기록용으로 풍부하게 표기
- 혈자리 추가기록 기능 활용
- '최근상병'으로 재진기록할 시 복사하여 자동 기록
(단, 기록한 부위는 보험청구시 심평원으로 전송되지는 않으나 저장되어 누적됨)
② 또는, 진료메모란에 시술한 혈자리를 풍부하게 메모
2. 자락관법2부위이상(이체부항) 시술 시 시술부위에 대한 기록하기
① 자락관법2부위이상(이체부항) 시술 시 시술한 부위 관리 기능
② 최근 심평원의 실사 시 자락관법2부위이상 시술 부위에 대한 관리 상세를 요구하고 있음
- 자락관법2부위이상(이체부항) → 시술한 2부위 이상을 선택 → 부항 → 기록확인 → 확인 → 혈자리(^6) 탭에서 기록 확인
- 초진기록 또는 '최근상병'으로 재진기록할 시에도 동일
(단, 기록한 부위는 보험청구시 심평원으로 전송되지는 않으나 저장되어 누적됨)
※ 참고: 자락관법2부위이상(이체부항)의 시술한 부위를 입력하는 창을 띄우지 않을 경우 - (권장하지 않음)
① 시술한 부위를 진료메모에 별도로 기록하거나 또는 종이차트에 기록한 경우에만 옵션 체크 후 적용
- 원장실프로그램 → 경영관리 → 한의원환경설정 → 자락관법2부위 체크 → 적용
② 이외의 경우에는 시술한 부위를 반드시 보험기록과 함께 입력(기본 : 체크 해제)
(참고) 진료기록부 : 차트출력 + 진료확인서 출력
- 해당 환자의 '진료기록부 : 차트출력 + 진료확인서 출력'을 병행 제공하는 방법
- 해당 환자가 특정기간에 어떤 진료를 받았는지 차트에 기록된 내역을 확인하고자 하므로(진료기록부),
이 기간 진료의 차트출력과 함께 진료확인서를 첨부해주는 방식으로 대응하기
① 차트출력 실행
원장실프로그램 → 차트출력
② 환자선택으로 출력하기
환자선택탭에서 환자선택 클릭 후 해당 환자 검색 → 기간 설정 → 출력조건 체크 또는 해제 → 출력
③ 진료기간 설정으로 출력하기
일괄출력에서 진료기간 설정 → 목록구성 → 출력여부 및 표지출력 설정 → 출력조건 체크 또는 해제 → 출력